허룽

허룽

[ Helong , 和龍(화룡), 和龙 ]

요약 중국 지린성[吉林省] 옌볜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에 있는 시(市).
화룡시

화룡시

위치 중국 지린성 옌볜조선족자치주
경위도 동경 128°22'~129°24' 북위 41°59'~42°57'
면적(㎢) 5069
행정구분 3가도(街道), 8진(鎭)
인구(명) 220,000(2004년)

을 경계로 북한의 , 와 마주보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시[龍井市], 서쪽으로는 현[安圖縣]과 닿아 있다. 한민족(韓民族)의 비율이 55%로 옌볜조선족자치주에서도 가장 높은 편이다. 1909년에 현(縣)이 설치되었으며, 1988년에 시(市)로 승급되었다.

허룽시[和龍市]는 의 동쪽 기슭에 위치하여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지형을 이루고 있다. 높은 산과 험한 봉우리가 발달해 있어 해발 1,000m이상의 높은 산봉우리가 56개나 있다. 전체 면적의 81.5%에 삼림이 분포하여 임업 자원이 풍부하며, 다양한 야생 동식물도 분포하고 있다. 금, 은, 동, 철, 석탄, 대리석 등 광물 자원도 많은데, 특히 석탄의 매장량이 풍부하다. 두만강의 상류 지역으로 수자원(水資源)도 풍부해 수자원의 총량이 124,700만m³에 이른다.

사계절이 뚜렷하며 대륙성기후의 영향이 강해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다. 연평균기온은 2~6℃이며, 기온의 연교차가 커서 7월 평균기온이 18~20℃이지만, 1월 평균기온은 -13~-20℃에 이른다. 연평균강수량은 500~700mm 정도로 건조한 편이지만, 하천이 많아 벼농사를 비롯해 농업이 발달해 있다. 농업은 주로 곡저평지(谷底平地)에서 이루어지는데, 둥청진[東城鎭] 일대 평강벌에서 생산되는 쌀은 중국 국무원(國務院)의 전공미(專供米)로 지정될 정도로 품질이 우수해 1999년 국가농업부에서 무공해 무오염 식품으로 '녹색식품증서'를 받았고, 2001년에는 지린성[吉林省]의 브랜드 제품으로 선정되었다. 때문에 이 지역은 '황제에게 공급되는 쌀을 생산하는 고장'이라는 뜻의 '어미지향(御米之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 밖에 콩, 조, 보리, 밀, 수수, 감자, 잎담배, 인삼 등의 작물과 사과, 배 등의 과일 재배도 이루어지며, 오염되지 않은 자연 환경을 이용한 특산물의 재배도 활발해 중국 국가환경보호국에게 '녹색식품기지'로 지정되었다.

허룽[和龍]이라는 명칭은 '두 산이 한 골짜기를 끼고 있다'는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달라즈[大拉子], 삼도구(三道溝, 싼다오거우)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1860년대 이후 함경도와 평안도 북부의 농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산지를 개간하며 살았고, 1883년 월강봉금령(越江封禁令)이 폐지되고, 1884년 청(淸)이 이 지역을 외국인의 거주와 무역을 허용하는 상부지(商埠地)로 개방해 합법적인 이주가 허용되면서 평지에서 벼농사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1902년 청은 이 지역에 연길부(延吉府)를 설치하였으나 1909년에 해란강(海蘭江, 하이란강)과 비암산(琵岩山)을 경계로 허룽현과 옌지현[延吉縣]으로 나누었다. 이 시기 허룽현은 오늘날 룽징시[龍井市]로 편입되어 있는 해란강(海蘭江) 남부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허룽시는 두만강을 경계로 164.5km를 북한과 마주보고 있으며, 난핑진[南坪鎭] 루궈[蘆果]와 충산진[崇善鎭] 구청리[古城里]에 북한과의 무역을 위한 통상구(通商口)와 국경 출입구인 커우안[口岸]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정효공주(貞孝公主)의 묘 등 고구려와 발해 시대의 유적들이 많다. 그리고 1920년 10월 (洪範圖)의 (大韓獨立軍), (金佐鎭)의 (北路軍政署) 등의 독립군 부대가 일본군 대부대를 격파한 (靑山里戰鬪)의 전적지 등 항일 독립운동의 유적들도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