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현보

홍현보

[ 洪鉉輔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목민관 때는 진휼에 힘쓰는 등 선정을 베풀었고, 영조 즉위 후에는 붕당의 폐해를 지적하고, 탕평책 실시 주장하여 왕의 신임이 두터웠다.
출생-사망 1680 ~ 1740
본관 풍산(豊山)
군거(君擧)
수재(守齋)
시호 정헌(貞獻)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자는 군거(君擧), 호는 수재(守齋)이다. 선조의 부마(駙馬) 영안위(永安尉) 주원(柱元)의 후손이다. 1718년(숙종 44) 정시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저작(著作)·수찬·교리 등 3사(司)의 관직과 각지의 지방관을 거쳐 한성부우윤·형조참판·대사간·대사헌·호조참판·한성좌윤·대사성·이조참판·우참찬·예조판서에 이르렀다.

성품이 온화, 검소하였으며, 목민관(牧民官)이 되어서는 진휼(賑恤)에 힘쓰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영조 즉위 후 붕당의 폐해를 지적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실시할 것을 주장하여 왕의 신임이 두터웠다. 시호는 정헌(貞獻)이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