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상

황상

[ 黃象 ]

요약 조선 초기의 무신이다. 이종무 휘하의 중군장으로 쓰시마섬을 토벌하였고, 황희와 함께 양녕대군을 폐출할 것을 주장하였다.
출생-사망 ? ~ ?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개국공신 황희석(黃希碩)의 아들이다. 1405년(태종 5) 무과회시(武科會試)에 급제하였고, 다음해 장군장(將軍房)이 호군방(護軍房)으로 바뀌면서 방주(房主)가 되었다.

1407년 축첩(蓄妾) 문제로 파직되었다가 개국공신의 아들이라 하여 곧 사면되었다. 1411년(태종 11) 충좌사첨절제사(忠佐司僉節制使)가 되었고, 1419년(세종 1) 세종이 등극하여 왜구의 진원지(震源地)인 쓰시마섬[對馬島]을 토벌할 때,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 이종무(李從茂) 휘하의 중군장(中軍將)에 임명되었다.

1426년 도총제가 되었는데, 세종이 군을 친열(親閱)할 때 군법을 문란하게 하였다 하여 편(鞭) 50의 벌을 받았으며, 이듬해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는데, 황희(黃喜) 등과 같이 양녕대군(讓寧大君)을 폐출(廢黜)할 것을 주장하였다. 1428년 기첩(妓妾) 가회아(可喜兒)를 만나느라 왕을 호가(扈駕)를 소홀히 하였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