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종로

손종로

[ 孫宗老 ]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청나라 군과 싸우던 중 그의 노비인 억부와 함께 전사하였다.
출생-사망 ? ~ 1636
본관 경주(慶州)
고경(考卿)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고경(考卿)이다. 1618년(광해군 10) 무과에 급제하였으나, 그해 광해군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것을 보고는 향리로 돌아와 은둔하였다. 1634년(인조 12) 남포현감(藍浦縣監)에 제수되었으나 도체찰사 김류(金瑬)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왕이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으로 향하던 중 길이 막히자 쌍령(雙嶺)에 주둔한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허완(許完)의 휘하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청나라 군과 싸우던 중 그의 노비인 억부와 함께 전사하였는데, 시체를 찾지 못하여 옷과 관으로 제사를 지냈다. 훈련원정에 증직되었고, 1783년(정조 7) 왕명으로 비각을 세워졌다. 이 비각은 손종로정충비각(孫宗老旌忠碑閣)이라는 이름으로 1992년 문화재자료 제261호로 지정되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