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좌

이세좌

[ 李世佐 ]

요약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갑자사화 때 윤비의 폐위를 극간하지 않았고 형방승지로서 윤비에게 사약을 전하였다 하여 자진의 명을 받고 목매어 자결하였다.
이세좌 묘

이세좌 묘

출생-사망 1445 ~ 1504
본관 광주(廣州)
맹언(孟彦)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본관은 광주(廣州)이고 자는 맹언(孟彦)이다. 세조 때 형조판서를 지낸 극감(克堪)의 아들이고, 명종 때 영의정을 지낸 준경(浚慶)이 손자이다. 1477년(성종 8)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1479년 부제학·좌참찬, 이듬해 동부승지·좌부승지를 거쳐 1482년 도승지가 되었다. 1485년 호조참판으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듬해 광양군(廣陽君)의 봉호(封號)를 받았고, 1489년 예조참판에 이어 대사헌·호조참판이 되었다.

1495년(연산군 1) 한성부판윤을 거쳐 호조판서에 올랐으며, 1497년에는 이조판서에 임명되고, 이듬해 판중추부사를 거쳐 예조판서가 되었다. 1503년 인정전(仁政殿)에서 열린 양로연(養老宴)에서, 용포(龍袍)에 술을 쏟는 불경(不敬)을 저질러 무안(務安)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다시 온성(穩城)·평해(平海)에 이배되었다.

이듬해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비(尹妃)를 폐위할 때 극간(極諫 :임금이나 윗어른에게 잘못된 일이나 행동을 고치도록 온 힘을 다하여 말함)하지 않았고 형방승지로서 윤비에게 사약(賜藥)을 전하였다 하여 다시 거제도(巨濟島)에 이배되던 중 곤양군[昆陽郡, 오늘날의 사천(泗川)] 양포역(良浦驛)에서 자진(自盡)의 명을 받고 목매어 죽었다.

참조항목

이극감

역참조항목

이수정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