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태

박경태

[ 朴慶泰 ]

요약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순무사 오명항에게 부탁하여 토벌군 선봉이 되어 안성·죽산 등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난이 평정된 후에 동관진첨절제사와 장기현감 등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출생-사망 ? ~ ?

함경도 갑산(甲山)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용력이 뛰어나고 호방하며 불의를 참지 못하여 주가곽해(朱家郭解)라는 별명이 붙었다. 주가와 곽해는 둘 다 중국의 유명한 협객이다. 36세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28년(영조 4) 아오지(阿吾地)의 만호(萬戶)에 임명되어 부임하는 도중에 이인좌의 난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는 곧장 말을 달려 서울로 향하였다. 마침 순무사(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이 출병(出兵)하는 것을 보고는 앞을 가로막고 변방의 장수직을 해임해 주고 선봉의 군대를 거느리게 해달라고 간청하였다. 오명항이 그의 뜻을 들어주어 선봉에 세워 나아가게 하였다. 그는 안성·죽산 등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포로가 된 이인좌를 서울로 압송하였다.

난이 평정된 후에 동관진첨절제사(潼關鎭僉節制使)와 장기현감 등에 제수되었으나 부모 봉양을 이유로 부임하지 않았다. 뒤에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