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 報恩 法住寺 幢竿支柱 ]

요약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법주사에 있는 당간지주이다.
법주사 당간지주

법주사 당간지주

찰간지주(刹竿支柱)라고도 한다. 법주사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인 금강문 왼쪽에 있다. 당간지주(幢竿支柱)란 절의 행사나 법회 등을 알리는 안내문을 세운 깃대(당간)와 버팀돌(지주)을 말하는데 당간은 없어지고, 지주만 남아 있다. 법주사의 당간지주는 고려 초 목종 9년(1006년)에 16m 높이로 조성되었으나 1866년 대원군이 당백전(當百錢)을 주조한다는 명목으로 사찰의 금속물을 징발하면서 사라졌다. 현재의 당간지주는 1910년에 조성한 것으로 높이 22m이며, 1972년에 보수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보은 법주사 당간지주 보은군 법주사에 있는 당간을 걸던 기둥과 버팀돌 보은군 속리산의 법주사에 있는 철로 만든 당간지주로 고려 1006년에 16m 높이로 조성되었다가 1866년 당백전 주조를 이유로 몰수되었고 1910년 22m 높이로 복원되었다. 법주사 경내 입구 금강문 왼쪽에 위치한다. 당간지주는 절의 행사나 법회를 알리는 안내문을 걸거나 종파를 표시하는 깃발을 걸어 신성구역임을 표시하는 솟대같은 것이었다. 현재 법주사 당간지주는 당(불화를 그린 깃발)과 당간은 없어지고 당을 걸던 나무장대(당간)가 공중에 걸리도록 지탱해 주는 기둥과 버팀돌 만이 2개 중 1개만 남아있다. 당간을 걸던 긴 기둥은 주로 돌로 만든 것이 많으며 긴 기둥 2개는 60~100m간격으로 세워진다. 그 사이에 당간을 높이 걸치고 있어 멀리서도 절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