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곡층

습곡층

[ fold layer , 褶曲層 ]

요약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횡압력을 받아 휘어진 지질 구조를 말한다.

습곡은 조산대에서의 지각 변동 결과 변형되어 굽어진 지질 구조로 볼록한 부분을 배사, 오목한 부분을 향사라 한다. 습곡의 형태는 습곡축과 축면의 자세, 습곡축이 직선인지 아닌지, 축면은 평면인지 아닌지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지층의 상하면이 평행인지 아닌지, 층면의 곡률이 습곡 내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관계된다.

습곡의 종류는 축면의 경사에 따른 분류와 습곡 형태에 따른 분류 두 가지가 있다.

축면의 경사에 따른 분류에는 축면이 연직인 대칭 습곡과 정습곡, 축면이 연직이 아닌 비대칭 습곡과 경사 습곡(양 날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하는 습곡), 횡와 습곡(축면이 거의 수평인 습곡) 등으로 나눈다.

습곡 형태에 따른 분류는 축과 축면에 의한 분류로 직선축 습곡, 곡선축 습곡, 수평 습곡, 플런지 습곡, 수직 습곡, 원통형 습곡, 비원통형 습곡, 축평면 습곡, 축곡면 습곡 등이 있고, 습곡층의 두께 변화로 분류하면 동심 습곡, 상사 습곡, 박정 습곡(薄頂 supratenuous fold) 등이 있다.

지질도 상에서 등고선에 대해 지층 경계선이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보일 때 습곡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는 동일 한 지층이 반복될 때 주향(strike)이 같으면서,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경우를 의미한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