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장

야장

[ field note , 野帳 ]

요약 야외 지질 조사시 답사 내용을 자세하게 기록하는 노트를 말하며 약자나 기호 등으로 간결하게 기록한다.

지질 현상을 직접 관찰하고 그 특징과 성인 등을 기재하려면 지질 조사를 위한 특별한 기록지가 필요한데 그 용지가 야장이다. 야장에 기록되는 내용은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1. 노두의 위치를 클리노메터 및 고도계, 지형이나 건축물, 마을의 위치, 도로 굴곡 등을 이용하여 결정한 다음 지형도에 표시하고 기록에 기록한다. (예:강화도 장화리에서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200m 등)

2. 노두의 규모 및 풍화 상태를 관찰하여 기록한다. 처음에는 적당한 거리를 두고 노두를 관찰하여 비교적 큰 지질구조 요소(단층, 습곡, 절리 등)를 자세히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기재한다.

3. 암석의 색은 신선한 암석의 색과 풍화 받은 암석의 색으로 구분하여 관찰하고 기록한다.

4. 암상을 관찰하여 기재한다. 망치를 이용하여 가능한 한 신선하며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암석의 표본을 채집하여, 확대경으로 표품의 신선한 면을 관찰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풍화 받은 면에서도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으므로 풍화 받은 면도 자세히 조사한다.

1) 화성암 지역
㉠ 암석의 구성광물과 조직을 관찰하여 암상을 결정한다.
㉡ 암석의 조직을 관찰하여 기재한다.
㉢ 다른 암상과의 접촉면을 관찰하여 기재한다.
㉣ 절리 및 단층 등 지질구조 요소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주향, 경사를 측정하여 지형도 및  야장에 기록한다.
㉤ 노두를 스케치하고, 필요한 경우 사진을 찍는다.
㉥ 필요시 표품을 채취한다.
 
2) 퇴적암 지역
㉠ 암석의 구성 광물 및 성분, 입자크기 등을 관찰하여 암상을 결정하여 야장에 기록한다. (예:석회암, 역암, 각력암, 사암, 이암, 셰일 등)
㉡ 암석 속의 조직을 관찰하고 기재한다. (예:입자의 모양 및 원마도, 분급도, 입자의 크기 등)
㉢ 층리면 위 또는 층리 중에 발달되어 있는 퇴적구조를 관찰하고 기재한다. (예:사층리, 점이층리, 건열, 연흔 등)
㉣ 층리의 형태를 관찰하여 기재한다.
㉤ 화석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화석의 보존 상태 및 보존 형태를 조사하여 기재한다.
㉥ 층리면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여 기재한다.
㉦ 노두를 스케치하고, 필요할 경우 사진을 찍는다.
㉧ 지층의 퇴적 순서를 결정한다.

3) 변성암 지역
㉠ 암석의 구성 광물, 성분 및 조직을 관찰하고 암상을 결정하여 야장에 기록한다. (예:점판암, 천매암, 편암, 편마암, 규암, 대리암, 사문암 등)
㉡ 암석의 조직을 관찰하여 기재한다. (예:쪼개짐(cleavage), 편리, 편마구조, 선구조)
㉢ 다른 암상과의 접촉면을 관찰하여 기재한다. (예:예리한 접촉, 점이적 관계 등)
㉣ 절리 및 단층 등 지질구조 요소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주향, 경사를 측정하여 지형도 및 야장에 기록한다.
㉤ 노두를 스케치하고, 필요할 경우 사진을 찍는다.
㉥ 필요시 표품을 채취한다. 

4) 지질구조
㉠ 습곡 구조:습곡축면의 주향 및 경사, 습곡의 형태 등
㉡ 단층 구조:단층면의 주향 및 경사, 단층에 의해 어긋난 양쪽지괴의 지층면 혹은 엽리의 주향 및 경사
㉢ 절리 구조:절리면의 주향 및 경사, 절리 간의 평균 간격
㉣ 엽리 구조:엽리면의 주향 및 경사, 엽리속의 광물 등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