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쯔강고기압

양쯔강고기압

[ Yangzi anticyclone ]

요약 봄철에 약화된 대륙성 한대 기단은 티베트고원의 북측경사면을 넘어 이동하는 동안에 기단 내부에 하강기류가 강화된다. 이 기단은 단열 압축, 승온되며 지표로부터 열을 받아서 매우 빠르게 대륙성 열대 기단으로 변질된다. 양쯔강 근처에서 생성된 이동성고기압으로 봄가뭄, 황사현상, 푄현상 등을 일으킨다. 주로 봄과 가을에 이동성고기압의 형태로 양쯔강 방면에서 우리나라 쪽으로 이동해온다.

고기압은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구역이다. 고기압권내에서는 하강 기류가 있어 단열 압축에 의한 온도의 상승으로 기층이 불포화되므로 구름이 없어져 일반적으로 날씨가 좋고, 바람은 약하며, 북반구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불어 나간다.
양쯔강고기압은 우리나라 봄철에 발생하는 대륙성 열대 기단으로 이동성 고기압이다.

생성

봄철에 태양의 적위가 높아져 북반구로 올라오면 고위도일수록 일조 시간이 증가하고 태양의 고도가 높아지면서 시베리아 대륙은 가열된다. 대륙성 한대기단은 급격히 약화된다. 상층의 아열대제트류가 티베트고원의 남쪽에 머무르는 동안에 약화된 대륙성 한대 기단은 티베트고원의 북측경사면을 따라 화남 지방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동안에 기단 내부에 하강기류가 강화되고 단열 압축되어 온도가 올라가면서 지표로부터 열을 받아서 매우 빠르게 대륙성 열대 기단으로 변질된다.

이 기단은 중국의 양쯔강 부근에서 강화되어 동진하면서 한반도로 이동해온다. 이것이 양쯔강 고기압이 되는 것이다. 이 기단의 발달에는 대류권 중간층에 열의 공급이 직접 이루어지는 티베트고원의 지표면 가열현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상

이 기단이 동서 방향으로 위치하여 이동성 고기압으로 한반도를 통과하면 장기간 맑은 날씨가 지속되면서 봄가뭄이 초래되기도 한다. 이동성고기압의 중심이 한반도의 남쪽으로 통과하면 영동지방에, 북쪽지방으로 통과하면 충청 및 경기지방 일대에 푄현상 또는 이와 유사한 고온 건조한 날씨가 나타난다. 그리고 가끔 상층 기류의 진폭이 남북으로 크게 발달하면 시베리아기단은 한반도에 직접 영향을 끼치면서 겨울철의 기압배치를 이루어 갑자기 매우 추운 날씨가 되는 꽃샘 추위를 만들기도 한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봄철에 중국 북부 또는 몽고의 1000m 이상 고원지대로부터 미세한 모래 입자가 대기속으로 편서풍을 타고 올라가 이동하는 황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것은 중국 북부 지역과 몽고 지역이 시베리아 기단이 약화되면서 양쯔강 기단의 영향으로 겨울철 얼었던 토양이 푸석 푸석하게 되어 저기압이 다가올 때 상승기류의 영향으로 미세한 토양 입자가 부유하게 되어 저기압을 따라 동아시아 전역으로 대략 3~5km 고도의 기류를 따라 확산되는 것이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