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해열

분해열

[ heat of decomposition , 分解熱 ]

요약 분해열은 물질이 분해할 때 관여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분해열이 클수록 물질을 분해하기 어렵다. 분해열은 표준 생성열로부터 구할 수 있다.

분해는 물질이 보다 작은 물질로 나누어지는 반응이다. 예를 들면 탄산 칼슘을 가열하면 산화칼슘과 이산화 탄소로 된다.    

 CaCO3(s) → CaO(s) + CO2(g)

이 반응의 결과로 생성된 물질은 반응 물질보다 간단한 물질이다. 이와 같은 반응을 분해라고 한다.

분해열은 분해가 일어날 때 관여되는 에너지로, 표준 생성열(표준 생성 엔탈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 반응에서의 분해열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탄산칼슘의 분해열 
=[(산화칼슘의 표준 생성열)+(이산화탄소의 표준 생성열)]-탄산칼슘의 표준 생성열
=[(-635.09) + (-393.51)]-(-1206.92)   
=178.32(kJ/몰CaCO3)

이로부터 1기압 25℃에서 고체 상태의 탄산칼슘 1몰이, 고체 상태의 산화칼슘과 기체의 이산화 탄소로 분해할 때의 열, 곧 분해열이 178.32kJ 임을 알 수 있다.

분해열이 작은 경우에는 그 물질이 쉽게 분해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그 값이 클 때에는 분해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