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상조직

입상조직

[ granular texture , 粒狀組織 ]

요약 화성암 파편에서, 육안으로 광물 입자들이 하나하나 구별되어 보이는 조직이다.

화성암을 이루는 광물 입자들이 모여서 나타내는 특징을 화성암의 조직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 입상조직이란 육안으로 화성암의 파편을 보았을 때, 광물 입자들이 하나하나 구별되어 보이는 조직으로서, 현정질조직이라고도 부른다. 구성 광물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1) 조립질 : 구성 광물 입자의 크기가 5mm 이상인 경우이다.

2) 중립질 : 구성 광물 입자의 크기가 1~5mm인 경우이다.

3) 세립질 : 구성 광물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인 경우이다.

이때, 구성 광물 입자들이 모두 비슷한 크기일 경우에는 등립질이라고 하며,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여러 크기가 섞여 있으면 순열반상조직(seriate texture)이라고 한다.

화성암 중 심성암의 경우 마그마가 지각내에서 천천히 냉각되므로 큰 광물 입자로 성장할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어 조립질로 산출된다. 하지만 화산암의 경우 고화된 마그마가 위로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결정이 성장할 충분한 시간이 없으므로 세립질로 산출되는 특징을 보인다.

[표]는 화성암을 조직상태에 따라서 분류한 것이다.

[표] 화성암의 분류

이산화규소 함량

염기성암

중성암

산성암

산출상태

어둡다                          밝다

세립


조립

화산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용암류

반심성암

휘록암

섬록반암

화강반암

암맥, 암상, 병반

심성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저반, 암주

조암광물의 함량

유색광물 함량이 많다.          무색광물 함량이 많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