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성당 수분공소

장수성당 수분공소

[ Subun Secondary Station of Jangsu Catholic Church , 長水聖堂 水分公所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에 있는 종교 시설. 2005년 6월 18일 국가등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장수성당 수분공소

장수성당 수분공소

지정종목 국가등록유산
지정일 2005년 6월 18일
소장 (재)전주교구 천주교회유지재단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뜬봉샘길 51-3 (수분리)
시대 1913년
종류/분류 등록유산 / 기타 / 종교시설

1913년에 지은 수분공소를 1921년 전면 개축한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6칸의 팔작지붕 한옥 양식이다. 원래의 흙기와를 얹은 팔작지붕에서 붉은색 함석 슬레이트 지붕으로 바뀌었다. 미세기 창을 달고 왼쪽 측면에 주 출입구를 두었으며 정면 가운데에도 출입구를 두었다. 제대 뒤쪽의 고해실은 신자석과 사제석이 완전히 구분되어 있다. 기둥과 벽, 마룻바닥, 제대 등이 원래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수분공소는 1926년 수분본당으로 승격하였다가 6·25전쟁 당시 남원본당 공소가 되었으며 1954년 완전히 공소가 되었다. 지역민이 참여로 건축한 종교 시설로 건축사·종교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뜬봉샘길 51-3에 있다.

참조항목

수분리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장수성당 수분공소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에 있는 종교 시설 국가등록문화재   수분공소는 지역주민들의 참여로 1913년에 건축된 종교시설로 건축사·종교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아 2005년 6월 18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수분공소는 1926년 수분본당으로 승격하였다가 6·25전쟁 당시 남원본당 공소가 되었으며 1954년 완전히 공소가 되었다. 건물은 초가집에서 붉은색 함석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축하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