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설량

적설량

[ amount of snow cover , 積雪量 ]

요약 눈(눈, 싸락눈, 우박 등)이 관측소 범위의 지면을 절반 이상 덮고 있을 때 측정한 눈의 양.

기상관서에서 정의하는 적설(積雪)은 관측장소의 주위 지면이 반 이상 눈에 덮여 있을 때를 의미하고 이때 쌓인 눈의 깊이를 적설량이라 한다. 따라서 눈이 내렸어도 극히 소량이어서 관측장소의 지면을 절반 이상 덮지 않은 경우에는 적설로 보지 않는다.
 
적설량 측정 장소
어떤 지점에서 적설의 깊이를 측정해 보면 장소에 따라 깊이가 상당히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은 지면의 기복이나 건물 등의 영향때문이며 쌓인 눈이 바람에 날려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대표성이 좋은 관측값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 평평하고 지형이나 건물의 영향이 적은 장소를 선택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적설량 단위
적설의 깊이는 보통 cm 단위를 이용하고 눈이 깊을 때는 m로 나타내기도 한다.
 
적설량 측정 도구
적설의 깊이를 측정할 때에는 관측장소에 cm 눈금이 새겨진 나무기둥을 연직으로 세우고 눈금의 0 을 지면에 일치시킨다. 이것을 설척(雪尺)이라 한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