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레간섭

무아레간섭

[ Moire interference ]

요약 백색광하에서 공간적으로 주기성을 갖는 반사판 또는 투과판을 서로 겹쳐 놓을 때 발생하는 물결 형태의 간섭무늬를 무아레무늬라 하고 무아레간섭은 비간섭성 광원을 사용해서도 얻어질 수 있는 일종의 강도(intensity)간섭 효과이다.

일반적으로 무아레 간섭법에는 무아레 토포그래피법과 무아레 편향 간섭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무아레 토포그래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격자로는 직선형 격자가 있다. 두 직선격자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무아레 무늬는 두 격자가 이루는 각을 변화시켜 무아레무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두 격자가 이루는 각이 커지면 무아레무늬 사이의 간격은 작아지고 격자선의 간격이 커지면 무아레무늬 사이의 간격도 커진다. 

무아레간섭 본문 이미지 1
[그림1 직선격자에 의한 무아레무늬]

무아레 간섭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직선격자 대신에 두 원형격자를 사용하여 병진운동시의 상대적 이동거리를 측정하였고, 이러한 원형격자의 응용성을 복굴절 물질의 편극에 따른 분산 특성의 측정에까지 확대하였다. 원형격자에 의해서 얻어진 무아레 간섭무늬에서의 의 개수는 두 원형격자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하게 된다. 이는 에서 파장이 일정할 때 두 점파원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면 마디선의 개수가 증가하며 두 원형격자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파장을 증가시키면 마디선수가 감소하는 것과 일치한다.

무아레간섭 본문 이미지 2
[그림2. 원형격자에 의한 무아레무늬]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