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항리

부항리

[ Buhang-ri , 釜項里 ]

요약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에 있는 리(里)이다.
부항리

부항리

증산면 북단 산간오지의 골짜기에 위치해 있다. 조선시대에는 성주목 증산면에 속한 월도, 한적, 시동이라 불렀다. 1895년에 증산면이 둘로 나뉘면서 내증산면에 귀속되었다. 1914년에 신기를 병합하여 부항리라 하고 김천군 증산면에 속하게 되었다.

자연마을에는 월섬, 한적골, 새터, 감나무골, 이전불, 새마, 주막뜸 등이 있다. 월섬은 부항리에서 가장 먼저 이루어진 마을로 산 위에 섬 같이 생긴 마을이다. 마을 뒤에 달뜨기난당이란 높은 산봉우리가 있는데 정월 달맞이 놀이인 를 할 때 가장 먼저 달을 볼 수 있고, 연기가 가장 빨리 올라가는 곳이다. 달뜨기난당과 섬같이 생긴 마을 모양에서 지명을 월섬이라 붙였고 한자로 월도라 하였다. 한적골은 교통이 발달되기 이전 옛날 사람들의 생각으로 이곳이 부항리에서 가장 아늑하고 한적하여 사람 살기에 좋다고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새터는 약 200년 전에 새로 터를 잡아 생긴 곳이라는 뜻에서 새터, 신기라 부르게 되었다. 감나무골은 병자년 수해 때 새터에서 옮겨 살게 되어 생긴 마을로 감나무가 많아서 부르게 된 이름이라 한다. 이전불은 병자년 수해로 새터에서 이전하여 살게 된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새마는 병자년 수해로 새터에서 다시 이주하여 새로 생긴 마을이라고 새마라 불렀다. 그곳 사람들은 자기들 나름대로 월도, 월계동으로 이름하려 했으나 통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주막뜸은 현대식 도로가 생기기 전에 해인사와 거창으로 가는 길목이었으며, 4월 초파일 경에는 길을 이을 정도로 길손이 많아 장사가 잘 되는 주막이 있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언제부터인가 이 마을을 주막뜸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