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좌평

6좌평

[ 六佐平 ]

요약 백제의 여섯 좌평(佐平)으로서, 내신좌평(內臣佐平), 내두좌평(內頭佐平), 내법좌평(內法佐平), 위사좌평(衛士佐平), 조정좌평(朝廷佐平), 병관좌평(兵官佐平)을 가리킨다.

《》에는 (古爾王) 27년(260)에 처음 6좌평을 두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이를 믿지 않고 4∼5세기경에 처음 설치되기 시작했다거나 무왕(武王) 때인 7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벼슬이라고 보기도 한다.

내신좌평(內臣佐平)은 왕의 명령을 전하거나 왕에게 보고하는 일, 내두좌평(內頭佐平)은 창고와 재정에 관한 일, 내법좌평(內法佐平)은 예법과 의례에 관한 일, 위사좌평(衛士佐平)은 왕을 호위하고 왕궁을 지키는 일, 조정좌평(朝廷佐平)은 형벌과 감옥에 관한 일, 병관좌평(兵官佐平)은 일반 군사업무를 각각 맡았다고 한다. 이에 관한 기록이 《삼국사기》와 《구당서(舊唐書)》 및 《신당서(新唐書)》에 실려 있다.

6좌평이 《(周禮)》의 6관(官) 곧 천관(天官)·지관(地官)·춘관(春官)·하관(夏官)·추관(秋官)·동관(冬官)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천관(天官)은 왕명 출납과 인사, 지관(地官)은 의례와 교육, 춘관(春官)은 외교와 문화, 하관(夏官)은 군사, 추관(秋官)은 형벌과 감옥, 동관(冬官)은 토목과 재정 등을 주로 맡았던 것으로 알려진다. 또, 6좌평제를 중국의 6전(典)제도와 연관짓기도 하는데, 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병조(兵曹)·형조(刑曹)·공조(工曹)로 구성된 중국의 조직제도를 본따 백제 후기에 6좌평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