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테푸르 시크리

파테푸르 시크리

[ Fatehpur Sikri ]

요약 인도 무굴제국의 악바르 왕이 세운 도시로 10년 동안 수도였다. 자마 마스지드 사원을 비롯하여 각종 건물이 남아있다. 1986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조드바이 궁전

조드바이 궁전

국가 인도(India)
지정일 1986년
분류 문화
테마분류 도시역사지구
소재지 Uttar Pradesh, Agra District
좌표 N27 05 37 E77 39 36

무굴제국의 왕 악바르(Akbar) 1세가 세운 도시로 1571년부터 1585년까지 무굴제국의 수도였으며 인도 북부의 우타르프라데시(Uttar Pradesh)주 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 건설은 악바르 1세의 지시에 따라 1569년에 시작되어 1574년경에 마무리 되었으며 당시에 왕궁과 법정, 모스크, 전통적 이슬람 가옥 등 다양한 건물들이 새롭게 지어졌다. 악바르 1세는 1571년에 자신의 거처를 이 도시로 옮겼고 도시 명을 페르시아어로 승리라는 뜻의 단어 파테(Fateh)에서 유래한 파테바드(Fatehbad)라 명명 하였다. 훗날 이 도시의 명칭은 오늘날과 같이 '파테푸르 시크리'로 변경되었다. 급수가 원활하지 못해 약 30년 후에 수도가 다시 인근의 아그라(Agra)로 옮겨진 이후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채 오랜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건축물들이 당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인도에서 무굴제국의 건축물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장소 가운데 한 곳으로 평가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악바르 1세는 건축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이 도시의 건물들을 건설할 당시 건축 양식을 직접 지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부계 조상인 티무르와 티무르 제국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철저하게 페르시아 식으로 이 도시를 계획하였으며 여기에 인도의 전통 건축 양식과 장식이 가미되었다. 특히 왕궁은 아랍과 중앙 아시아의 천막 주거 형식에서 파생된 건축 양식이 적용되어 여러 채의 독립된 파빌리온이 기하학적 조화를 이루고 있는 형태로 지어졌다. 파테푸르 시크리의 여러 건축물들은 처럼 다양한 지역과 시대의 건축 양식이 융합되어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높이 약 54미터의 '승리의 문'(Buland Darwaza)은 악바르 1세의 전승을 기념하기 위해 1576년에 건축되었으며 파테푸르 시크리 궁으로 들어가기 위한 중앙 문이다. 무굴제국 당시 건축의 좋은 예인 이 문은 전 세계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성문으로 알려져 있다. 궁전의 남서쪽에는 자마 마스지드(Jama Masjid)라고 하는 1575년에 완공된 모스크가 있다. 붉은 사암과 대리석으로 지어진 직사각 형태의 건물 위에는 여러 개의 돔 장식 지붕이 얹혀 있으며 페르시아와 이슬람의 건축 요소가 조화롭게 섞여 있는 모습이 흥미롭다. 1581년에 지어진 성자 살림 치슈티(Salim Chishti)의 묘 역시 건축적 기술과 아름다움이 빼어난 무굴제국 당시의 건축물로 꼽힌다. 남쪽으로 '승리의 문'과 면하고 있다. 악바르 1세 아들의 탄생을 예언했던 이슬람 신비주의인 수피교 성자 살림 치슈티에 대한 존경을 표시하기 위하여 건축되었다. 왕이 백성들을 만나는 공간의 역할을 맡았던 디완이암(Diwan-i-Am)은 궁 내부의 넓고 개방된 공간에 파빌리온 형태로 지어졌다.

디완이암의 북서쪽으로는 왕이 사적인 접견을 했던 장소인 디완이카스(Diwan-i-Khas)가 있다. 디완이카스는 아름다운 조각으로 장식된 건물 내부의 중앙 기둥으로 유명하다. 이곳은 악바르 1세가 여러 종교의 대표자들과 함꼐 자신의 신념과 신앙에 대해 토론하는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궁 안에는 또한 판치마할(Panch Mahal)이라고 하는 5층 규모의 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은 파테푸르 시크리에서 가장 잘 알려진 건축물이기도 하다. 피라미드와 비슷한 형태로 위 층으로 올라갈 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이 건물은 176개의 다양한 모양의 기둥이 받치고 있으며 5층 위에는 돔 형태의 작은 지붕이 얹혀있다. 건물 1층에는 힌두 점성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숫자인 84개의 교각이 설치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