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 곽은 재실

옥천 곽은 재실

[ 沃川 郭垠 齋室 ]

요약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재실(齋室). 2004년 9월 1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옥천 곽은 재실

옥천 곽은 재실

지정종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4년 9월 17일
소재지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 산17-1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2004년 9월 1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조선 성종(재위 1469∼1494) 때의 문신으로,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지평·장령 등을 역임한 후 담양부사와 승정원 동부승지를 지낸 용촌(龍村) 곽은(郭垠 ?~?)의 재실(齋室; 제사를 지내기 위해 조상의 무덤이나 사당 옆에 지은 집)이다.

16세기 중엽에 건립된 재실로서,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고, 조선시대의 치목기법이 잘 나타나 재실 건축 자료로 가치가 높다. 1894년 중수한 바 있으며, 1978년 수해로 피해를 입은 후 복구되었다.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 대성산(大聖山, 높이 705m) 자락의 양지 바른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강청리 마을회관으로부터 산길로 약 900m 올라간 지점에 있다.

정면 5칸·측면 1칸 반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앞면으로 반 칸 정도 폭의 마루를 깔았으며, 오른쪽의 1칸 크기 온돌방 앞으로는 높은 마루를 두고 마루 아래에 별도의 아궁이와 문을 설치하여 원경(遠景)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이 온돌방의 출입문은 대청으로 나 있으며 방 앞 높은 마루 쪽으로 창을 내었고, 창 아랫부분에 머름을 댔다.

건물의 창호는 띠살문(직선의 문살을 수직으로 촘촘히 대고, 위·중간·아래의 일정 부분에 가로로 문살을 댄 문)과 정자살문(문살을 ‘井’자 모양으로 촘촘히 짠 문)으로 되어 있고, 붉밝기창 기법(상부와 하부는 두터운 종이를 발라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반면 중간에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창을 내어 놓는 기법)으로 만든 창호도 있다. 자연목의 원래 형태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벽면의 모습에서 우리 전통가옥의 멋을 느낄 수 있다.

참조항목

곽은, 강청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옥천 곽은 재실 옥천군에 있는 조선시대 재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3호 충북 옥천군 이원면의 용촌(龍村) 곽은(郭垠) 사후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어진 재실로 16세기 중엽에 지어진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조선시대 건물이다. 건물은 정면5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팔작지붕집으로 지어졌으며 전면 반 칸에는 툇마루를 두고 오른쪽부터 건넌방, 대청, 온돌방, 부엌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곽은은 조선 성종 때의 문신으로 담양부사와 승정원 동부승지를 지낸 인물이다. 그의 재실은 큰 규모는 아니지만 중후함이 있으며 조용히 정진하는 장소로도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