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삼리 지석묘

신삼리 지석묘

[ 新三里 支石墓 ]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신삼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유적. 1986년 4월 1일 강화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신삼리 지석묘

신삼리 지석묘

지정종목 향토문화유산
지정일 1986년 4월 1일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신삼리
시대 조선시대

1986년 4월 1일 강화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으며 강화하점면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선사문화유적의 하나인 북방식 고인돌로서, 청동기시대 부족장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북방식 고인돌은 강화, 인천, 수원, 이천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그 북쪽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흔히 4매의 직사각 모양 고임돌[支石]을 만들고 그 위에 덮개돌[蓋石]을 얹는 탁자 모양인데, 이 묘는 2매의 고임돌만 남아 있다. 묘의 규모를 보면 고임돌은 높이 2.6m이고 덮개돌은 길이 7.2m, 폭 5.5m, 두께 30~33cm로서 매우 크다. 부근에 흩어져 있는 다른 고인돌군과 함께 남방한계선 부근에 있어 고고학적으로 가치가 크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