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물질

성분물질

[ component matter , 成分物質 ]

요약 화합물에서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를 말하며, 혼합물에서는 각각의 물리적 성질을 가진 기본 구성성분을 의미한다.

순물질의 성분물질
순물질은 홑원소물질과 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다. 철, 구리, 인, 황, 숯 등의 성분물질은 한 가지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홑원소물질이라고 부른다. 또한 한 가지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결합을 이루는 방식이 달라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다른 원소를 동소체라고 한다. 화합물은 2개 이상의 다른 원소들이 일정한 비율로 구성된 물질이다. 화합물은 각각의 원소들이 특별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성분물질을 분리해 내지 못한다.

숯, 다이아몬드, 탄소튜브 등의 성분물질 → 탄소(C)
금속인 철, 구리, 아연 등의 성분물질 → 철(Fe), 구리(Cu), 아연(Zn) 등의 원자

설탕의 성분물질 → 탄소(C), 산소(O), 수소(H)
소금의 성분물질 → 나트륨이온(Na+), 염소이온(Cl-)

혼합물의 성분물질
혼합물은 한 물질이 다른 물질과 단순하게 섞여 있는 물질로 각각의 성분물질은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의 성분물질은 단순히 섞여 있는 것으로 고정된 비율을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닷물은 염화나트륨과 같은 여러 염류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장소에 따라 그 조성이 조금씩 다르다.

공기의 성분물질 → 질소(N2), 산소(O2), 아르곤(Ar), 이산화탄소(CO2) 등
놋쇠의 성분물질 → 구리(Cu), 아연(Zn) 등
스테인레스강의 성분물질 → 철(Fe), 크로뮴(Cr), 탄소(C) 등
식초의 성분물질 → 물(H2O), 아세트산(CH3COOH)

혼합물은 거름, 분별증류, 크로마토그래피, 분별깔대기, 재결정, 승화 등의 방법으로 성분물질을 분리하고 확인할 수 있으며 화합물은 연소생성물, 불꽃반응, 침전반응 등으로 그 성분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참조항목

,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