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전증

폐색전증

[ Pulmonary embolism , 肺塞栓症 ]

요약 폐의 혈관이 혈전이나 공기에 의하여 막히는 질환.

폐색전증은 정맥계에서 생성된 색전이 그 경로를 통해 , 을 거쳐 을 폐쇄하는 것을 말한다.

정맥계의 혈전은 혈류가 느려지거나, 벽의 손상,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혈액 응고 등에 의하여 생성된다. 또한 정맥계의 혈전은 대부분 길고 반듯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 혈괴를 형성하기 쉬운 하지나 골반의 정맥에서 발생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혈전이 하지의 정맥에서 이탈되어 폐동맥을 통과하다가 걸려 폐동맥을 폐쇄하면 폐색전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하지에서 발생하는 혈전은 길고 크므로 폐동맥의 혈류를 완전히 차단 시킬수 있다.

폐색전의 증상으로는 폐색전에 의하여 폐쇄되는 폐동맥의 크기와 손상 받는 폐조직의 범위에 달려 있다. 폐색전이 아주 커서 급격한 폐동맥 고혈압을 유발할 경우 우심실부전으로 사망할 수 있으며, 페색전증이 발생한 후 폐경색이 발생하면 늑막을 자극하여 호흡시 날카롭고 베는 듯한 통증인 늑막성 흉통이 생길 수 있다. 폐색전에 의하여 폐쇄된 폐동맥이 분포하는 부위의 폐는 비록 흡기와 호기가 이루어지더라도 혈류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동맥혈 산소압이 감소되어 청색증이 유발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폐색전은 아무런 자각 증상을 유발하지 않거나 일시적인 호흡곤란만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폐색전증은 정맥 내에 혈전이 형성되기 쉬운 운동을 할 수 없는 사람, 혈액질환이 있는 사람 등에서 흔히 발생하며, 건강하고 활동적인 사람에게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