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비

정수비

[ constant ratio , 正數比 ]

요약 비율의 값이 정수로 나타남.

화학식과 정수비
화학식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실험식, 시성식, 분자식, 구조식이 있다. 하나의 물질을 이루는 각 원소를 있는 그대로 쓰는 것이 분자식이며, 실험식은 분자의 표현이나 화학물질의 결합시키는 방법에서 가장 간단한 정수의 비로 표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온성 화합물의 표현뿐 아니라 분자식으로 표현하는 물질은 원자를 구성하는 성분비로 나타낸다. 벤젠의 분자식은 C6H6이나 실험식으로는 CH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에텐의 분자식도 C2H4이나 실험식으로 표현하면 CH2로 나타낼 수 있는 것처럼 실험식은 원자들의 구성성분을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표현한 것이다. 이외에도 작용기를 나타내는 시성식과 공유결합 물질을 선으로 나타내는 구조식이 있다.

배수비례의 법칙과 정수비
배수비례의 법칙은 두 가지 원소가 두 가지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한 원소에 결합하는 다른 원소의 질량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함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물(H2O)과 과산화수소(H2O2)의 경우 수소에 결합하는 산소의 정수비가 1:2 임을 알 수 있다.

기체반응의 법칙과 정수비
게이 뤼삭이 주장한 기체반응의 법칙은 '여러 가지 기체들의 반응에서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들의 부피비 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는 법칙이다. 즉, 화학반응식의 계수의 비는 기체들의 반응 사이의 부피비와 같고 이것은 정수비로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것이다.
즉,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수증기가 생성되는 반응식을
H₂(g) + ½O₂(g) --> H2O (g)
로 표현하는 것 보다는
2H₂(g) + O₂(g) --> 2H2O (g)
와 같이 화학반응식의 계수는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표현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