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편두

백편두

[ 白扁豆 ]

요약 우리나라에서는 콩과의 편두(Dolichos lablab L.)의 씨를 말한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식물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백편두

백편두

백편두라는 이름은 약재의 모양이 평평하게 생긴 데서 유래되었다. 연리(沿籬)라는 이름은 넓게 퍼진다는 뜻이며 아미(蛾眉)라는 이름은 백편두의 가운데에 흰색의 줄이 있는데 그 모양이 눈썹모양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약은 콩비린내가 있고 맛은 조금 달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甘微溫]

백편두는 습사가 비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설사, , 구토에 쓰며 만성질환으로 인한 소화흡수력의 감퇴 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여름철 감기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암작용, 면역증가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편평한 타원형 혹은 편평한 난원형이며 바깥 면은 황백색이고 평활하며 광택이 있다. 한쪽 가장자리에는 반달 모양의 백색 융기가 단단하게 붙어 있으며 그 끝에 검고 작은 움집 모양의 종제(種臍)가 있다. 종피는 얇고 각질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자엽이 2개 있고 살이 쪘으며 황백색으로 질은 단단하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