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기부X파일사건

안기부X파일사건

[ 安企部─事件 ]

요약 MBC의 기자가 국가안전기획부의 도청 테이프를 보도하면서 촉발된 일련의 불법 도청 사건.

의 기자가 2004년 말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현 국가정보원)의 불법 도청 테이프에 대한 정보를 입수한 뒤, 2005년 1월 재미동포에게서 관련 자료를 입수하면서 불거지기 시작하였다. 이 기자의 입수한 자료는 95분 분량의 도청 테이프로, 1997년 당시 의 고위 임원과 의 사주가 만나, 특정 후보에게 대선 자금을 불법적으로 지원하기로 공모한 내용 등이 담겨 있다.

그러나 같은 해 6월 16일 MBC 보도국 간부회의에서는 이 기자가 취재한 내용, 곧 X파일에 대해 보도 불가 결정을 내렸다. 이로 인하여 파일에 대해 의혹만 더 커져, MBC의 보도 불가 결정을 비판하는 이 잇따랐다. 이런 와중인 7월 21일 가 김영삼정부 때 안기부의 비밀조직이 정계·재계·언론계 인사들의 대화를 불법 도청한 사실을 보도했다. 다음 날에는 MBC가 뉴스데스크를 통해 X파일 등장인물 실명과 대화 내용을 보도하면서 X파일의 여파는 확대되었다.

조사 결과, 불법 도청을 저지른 조직은 안기부의 비밀 도청팀 '미림'으로 밝혀졌다. 미림은 1991년 편성되어 활동하다가, 1993년 7월 해체되었다. 그러나 1994년 6월 다시 조직되어 1997년까지 활동하면서 정계·관계·재계·언론 등 각계 인물들에 대해 도청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러다 가 들어서면서 팀 관련자들이 면직되자, 도청과 관련된 기업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요구하기 위해 불법 도청 테이프를 빼돌렸다.

X파일은 이때 면직된 미림팀장이 재미교포에게 전달한 도청 테이프이다. 이 테이프 외에도 미림팀장의 자택에서 200여 개의 테이프가 더 발견되었고, 국가정보원이 추가로 찾아낸 테이프를 합하면 총 800여 개에 달한다.

MBC가 보도한 도청 테이프의 내용에는, 한국 굴지의 대그룹과 언론사가 특정 대통령 후보에 대한 자금 제공을 논의하고, 최고위급 간부들에게 뇌물을 제공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X파일은 국민적인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 사건은 고질적인 정경유착, 문민정부를 자청했던 김영삼정부의 불법 도청 사실, 국가정보기관에 의해 일상적으로 행해진 광범위한 불법 도청 문제, 사건 수사 기관 선정 및 수사 방법, 삼성그룹에 대한 소극적 수사, 국민의 알권리 충족 문제, 언론의 보도 경향 등 시간이 흐를수록 논란과 의문만 증폭시켰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