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경부마모증

치아경부마모증

요약 치근 부위의 잇몸이 내려가 노출된 치아표면이 마모되는 것으로 잇몸이 내려앉아 시멘트질 안의 상아질이 노출된 상태.

치아경부마모증이 생기면 치아가 패인 부분에는 치아 내부 신경조직과 거리가 가깝게 된다. 그러므로 약한 자극에도 치아 내부의 심부조직까지 쉽게 영향을 미치게 돼 외부 자극에 과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그래서 찬물이나 찬바람에 치아가 시리게 되고, 앞니에 충치가 발생하기도 쉽다. 치아가 패인 상태를 방치하면, 점점 더 패여 치아가 부러지거나 치아 안에 있는 신경이 노출되어 심한 통증과 함께 신경에도 염증이 생기게 된다.

치아경부마모증이 확인되면 칫솔, 칫솔질 방법, 세치제 등을 올바르게 선택함으로써 더 이상 마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칫솔은 부드러운 탄력의 칫솔을 선택한다. 대부분의 치아경부마모증은 오랜 세월 칫솔질 방향을 옆으로 문지르며 치아를 닦아 치아와 경계부가 닳아서 생긴 현상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아래 위로, 칫솔을 잡은 손목을 돌리면서 치아를 닦는 회전법으로 칫솔질 해야 한다.

세치제(치약)도 연마력이 약하거나, 지각둔화제가 함유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마모 초기에는 패인 부분을 치아 색과 거의 유사한 플라스틱으로 메꿔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으나 가 노출되었을 때는 치아 안에 있는 신경을 제거하고 다른 물질로 신경이 있던 자리를 채워넣는 를 해야 한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