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이윤

한계이윤

[ marginal profit , 限界利潤 ]

요약 생산물 한 단위를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이윤.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얻어지는 이윤, 곧 생산물 한 단위를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이윤을 말한다. 현재 2개를 생산하고 있다면, 한 단위를 늘려 3개를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이윤이 한계이윤이다.

한계에서 한계비용을 뺀 값으로, 완전경쟁 시장하에서는 개별 수요자나 공급자는 가격결정에 영향을 줄 수 없기 때문에 이윤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점에서 생산량을 유지해야 한다.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한다는 것은 곧 한계이윤이 0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계수입은 일정한데 한계비용이 늘어나면 한계이윤은 점차 줄어들어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점에서 한계이윤은 0이 된다. 이후 한계비용이 한계수입보다 커지면 한계이윤은 마이너스가 되어 총이윤도 줄어든다. 따라서 한계이윤이 0보다 클 때는 생산량을 늘리고, 한계이윤이 0보다 작을 때는 생산량을 줄여야 한다.

결국 완전경쟁하에서 한계이윤이 0일 때 이윤의 극대화가 이루어진다는 말은 한계비용과 가격이 일치하는 점에서 생산량이 결정된다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한계수입은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판매할 때 얻어지는 총수입의 증가분, 즉 한 단위를 더 생산할 때 추가로 발생하는 수입이다. 또 한계비용은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의 증가분, 곧 한 단위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일컫는다.

참조항목

,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