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모상각

감모상각

[ depletion , 減耗償却 ]

요약 천연자원과 같은 고갈성 또는 소모성 자산의 가치 감소에 따른 상각(償却)을 일컫는 경제용어.

감모(減耗)란 '닳아서 줄어든다'는 뜻이다. 감모상각은 감모성(減耗性) 자산에 대한 상각을 가리키는데, 광산·유전·삼림 등과 같이 사용할수록 물리적으로 소비되고 고갈되는 고갈성 또는 소모성 천연자원이 감모성 자원에 속한다.

광산을 예로 들면, 자원의 매장량을 추정하여 단위당 감모비를 계산한 뒤 매년 채굴량에 따라 감모상각비를 계상하는 방식이다. 이때 추정하는 매장량은 채산이 맞는 매장량에 한하며, 생산설비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이 적용된다.

감가상각은 자산용역 잠재력의 감소인 데 비하여 감모상각은 수량의 소진 또는 완전 소모된다는 점, 따라서 대체할 수 있는 감각상각의 자산과는 달리 한번 고갈되면 대체할 수 없다는 점이 특색이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