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토양

건조토양

[ aridosol , 乾燥土壤 ]

요약 건조 혹은 반건조지대에서 생성되는 전형적인 토양으로 습기가 부족한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토양 단면에는 땅 속에서 올라온 물이 증발되어 남은 탄산염이 쌓인다. 건조토양은 이러한 염분에 의해 강한 알칼리성을 띠는게 특징이다.

습기가 부족한 사막지역에서는 토양 단면에 이 쌓여서 건조토양을 발달시킨다. 탄산염이 쌓이는 이유는 땅 속에서 올라온 물이 에서 됨에 따라 물 속에 용해된 염만 지표층에 남기 때문이다.

이렇게 쌓인 탄산염은 토양 단면에 물이 스며들지 않는 흰색의 층을 이루는데, 이를 칼리치(caliche)라고 한다. 미국 남서부나 의 반건조지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건조토양은 염분이 지표층 가깝게 쌓여 있으므로 강한 알칼리성을 띤다. 유기물질의 함량이 부족해 토양은 대개 회갈색 또는 갈색, 적갈색을 띠며, 수분이 적고 거름 성분이 부족해 을 재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지구의 면적 중 약 30%를 차지한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