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고정루프

위상고정루프

[ phase locked loop , 位相固定─ ]

요약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주파수 부귀환 회로.

입력 신호와 기준주파수, 출력 신호와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전자회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차(位相差)를 검출하고,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전압제어 발진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정확하게 고정시킨 주파수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송신해 온 신호가 기준주파수와 일치할 때까지 계속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고정하는 부귀환 회로(Negative Feedback)의 하나다. 신호전송과 통신에 커다란 역할을 하며, 디지털· 전자회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이 회로는 신호가 특정 위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즉 주기적인 신호의 위상이 흔들리지 않게 정확한 고정점을 강제로 잡아주는 것이다. 특히 RF시스템에서는 주로 주파수원으로 이용되는 주파수의 흔들림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위상은 주파수를 적분한 개념이므로 위상 고정과 주파수 고정의 개념은 거의 같기 때문이다.

RF시스템에 필요한 주파수원을 끌어오는 데는 적분기 역할을 하는 VCO가 사용된다. 이때 출력주파수는 주변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회로와 주변 장비, 온도와 날씨의 영향 등을 받으면 주파수가 미세하게 흔들려서 다른 주파수로 가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RF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한다.

주파수를 잘게 쪼개 분할하는 현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의 안정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각종 믹싱(mixing)과 증폭과정에서 신호를 정확하게 처리하려면 VCO에서부터 주파수를 정확하게 출력해야 한다.

이 회로는 이나 무전기의 주파수 제어뿐 아니라, 의 내부 클록(clock) 주파수를 외부 클록의 정수배로 변환시켜 고속화하는 데도 사용된다. 이 고속화 기술은 의 486DX2 프로세서에 처음 적용됐다. 현재는 고속 디바이스(device)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또 주파수 신시사이저(synthesizer)나 FM원상회복기 등에도 사용된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