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지향

시장지향

[ market orientation , 市場指向 ]

요약 시장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생산지가 시장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경향.

의 입지 선택이 인자(市場因子)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혹은 시장인자 때문에 시장 근방에 입지가 결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A.베버의 수송비지향 이론에 의하면 원료지수가 1보다 작은 공업은 소비지(시장) 지향적이라고 판정되어, 원료지향에 상대되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 이론에서는 시장지향은 단지 수송비를 절약하기 위한 목적에 그 동기가 있을 뿐 시장 자체의 특유한 입지 견인력은 평가되어 있지 않다.

S.E.데니슨은 생산이 시장에 근접하려고 하는 주된 이유는 와 밀접한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 M.L.그린허트는 모든 입지인자 가운데 시장인자는 가장 특이한 것으로, 다음의 3가지 경우에 공업입지에 지배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즉, ① 특정 시장지역이 그 생산에 대해서 극대이윤을 가져다주는 경우, ② 소비자에 근접한 위치가 완성품의 운송에 현저한 절약을 가져다주는 경우, ③ 소비자 근방의 입지가 판매를 위한 필요조건이거나 혹은 판매량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는 경우이다.

수송비 지향론적 견해는 ②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시장인자를 분석한다면 비용인자 외에 인자, 단순한 비용인자와 구별되는 비용절감인자, 수입증가인자가 있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