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좌기금

석좌기금

[ named endowed fund , 碩座基金 ]

요약 대학이나 학술기관 등이 교육이나 연구활동에 탁월한 업적이 있는 학자의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외부 기관이나 개인의 기탁금으로 조성하는 기금.

석좌제도는 대학이나 학술기관 등이 교육이나 연구활동에 탁월한 업적이 있는 학자의 연구활동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는 제도이다. 석좌기금은 이 제도를 추진하기 위해 외부 기관이나 기업·개인 등이 기탁한 출연금으로 설치한 기금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1985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처음으로 설치하였고, 2004년 현재 전국의 대학교에서도 기금을 설치·운용하고 있다. 기금의 성격에 따라 운용방식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금은 통상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경제여건·수익성·안정도를 고려해 수익이 발생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운용한다. 둘째, 기금의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기금운용 책임자를 둔다. 셋째, 석좌에 대한 재정 지원은 기금의 (果實) 한도 안에서 시행한다.

넷째, 기금은 와 구분해 각각 별도의 특별을 설정하고 독립적으로 운용한다. 다섯째, 관리 책임자는 기금 관리장부를 작성·비치하고, 기금 관리 및 운용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한다. 여섯째, 대학교 이나 학술기관의 장은 매년 정기 에서 기금의 운용계획 및 예산, 기금운영결산서를 보고해야 한다. 일곱째, 기금을 해체하고자 할 때는 학술기관의 장, 총장은 당해 위원회의 심의와 이사회의 을 받아야 한다.

석좌제도는 기금을 출연한 기관이나 기업·개인에게도 명예가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금을 출연한 사람은 자신의 이름이나 원하는 명칭을 석좌의 이름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