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딩웨이브 현상

스탠딩웨이브 현상

[ standing wave ]

요약 자동차가 고속 주행할 때 타이어 접지부에 열이 축적되어 변형이 나타나는 현상.

타이어 공기압이 낮은 상태에서 자동차가 고속으로 달릴 때 일정 이상이 되면 타이어 접지부의 바로 뒷부분이 부풀어 물결처럼 주름이 접히는 현상을 말한다.

타이어는 을 받으면 되지만 하중이 없어지면 내압에 의해 원상태로 되려는 성질이 있다. 이 작용은 타이어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타이어의 전 원주에서는 변형과 복원이 반복된다.

그러나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여 타이어의 회전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 빨라지면 접지부에서 받은 타이어의 변형(주름)이 다음 접지 시점까지도 복원되지 않고 접지부의 뒤쪽에 변형 부위가 물결처럼 남게 되는 것이다. 대개 150km/h 전후의 주행속도에서 이 현상이 발생한다.

스탠딩웨이브 현상이 생기면 타이어 내부에 많은 이 발생하는데, 이 상태에서 주행을 계속하면 타이어가 파손된다. 이 현상은 레이디얼타이어보다 바이어스타이어에서 더 심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고속주행의 기회가 많은 경우는 고속주행에 적합한 타이어를 장착하든지 타이어의 공기압을 표준공기압보다 10~30% 높여야 한다.

스탠딩웨이브 현상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