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훈요법

좌훈요법

[ 座薰療法 ]

요약 한의학에서, 약재를 끓는 물에 넣고 그 김을 여성기에 쏘이는 치료방법.

에서 훈증법(薰蒸法)에 해당하는 것으로 약물을 물에 끓여서 를 쏘이는 방법을 말한다. 《》에는 훈증(薰蒸), 《(東醫寶鑑》에는 소연훈지(燒烟薰之), 《경악전서(景岳全書》에는 증울법(蒸蔚法), 《(金櫃要略》에는 외음세척(外陰洗滌)과 음중납약(陰中納藥)·항문도입(肛門導入) 등으로, 《나원개(羅元愷)》에는 외음훈세법(外陰薰洗法)으로 소개되는 등 매우 오랜 옛날부터 여성들이 산후, 혹은 여성기가 가렵다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썼던 산부인과적 처방이다. 

여성기 깊숙한 곳에 한약재의 김이 스미게 하여 여성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 분비를 도와 살도 빠지고 뼈도 튼튼해져 을 예방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기운이 풍부한 뜨거운 김은 강한 살균력을 지니고 있어 환부나 여성기관에 직접 영향을 미쳐 에 의한 으로 생기는 가려움증과 냉·물혹 등을 치료한다. 또한 생리통과 하복통·· 등에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을 치료한다. 얼굴에 쓸 경우 를 곱게 가꾸어 준다.

P 계열의 을 포함한 약재들과 약쑥·포공영·익모초··과하 등이 주재료로 사용된다. 구멍 뚫린 의자 밑에 물을 데울 수 있는 사기 그릇을 놓고 약재와 끓는 물을 부은 뒤 의자에 앉아 김을 쏘인다. 물이 식으면 다시 조금씩 데우면서 30분에서 1시간 정도 계속 수증기를 쏘인다. 한편 좌욕을 해도 된다. 물을 끓여 미지근하게 식힌 뒤 약재를 넣고 세수대야에 10분 정도 좌욕을 하는데, 하루에 세 번 10분씩 하면 효과적이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