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토프식 망원경

막스토프식 망원경

[ Maksutov's telescope , ─式望遠鏡 ]

요약 러시아의 막스토프(Maksutov)가 만든 반사굴절망원경이다. 주경을 구면으로 하고 경통의 앞쪽에 보정판인 메니스커스(meniscus)를 부착해서 주면경에 의한 구면수차를 줄였다. 

1941년 8월 의 물리학자이며 천문학자인 드미트리 드미트리에비치 막스토프(Dmitry Dmitrievich Maksutov)가 발명하였다. 경통의 앞쪽에 보정판을 부착해서 수차를 줄이는 방식의 망원경이다.

주거울은 구면경이고, 보정로서 메니스커스렌즈를 사용하면서 이 보정렌즈의 가운데를 하여 2차경 역할을 한 방식이다. 주거울인 구면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를 보정판으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처럼 보정렌즈의 일부를 도금한 그레고리-막스토프(Gregory-Maksutov) 또는 스팟 막스토프(Spot-Maksutov) 망원경과,  2차경을 보정판에 부착한 루덴 막스토프 카세그레인(Retten Maksutov-Cassegrains, Rumak, Sigler Maksutov), 보정판 대신에 작은 sub-aperture corrector을 사용한 서브 애퍼처 코렉터 막스토프(sub-aperture corrector-Maksutov)가 있다.

이 망원경은 앞이 막힌 관계로 상(像)이 안정되어 보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수차 제거로 인해서 상이 매우 선명한 것이 특징이다. 또 보정렌즈인 메니스커스렌즈는 구면렌즈이므로 슈미트 카메라의 보정판보다 만들기 쉬운 장점도 있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