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굴절망원경

반사굴절망원경

[ catadioptric telescope , 反射屈折望遠鏡 ]

요약 렌즈와 거울을 모두 사용하여 만든 망원경을 말한다. 렌즈를 이용하는 굴절망원경은 안정된 상을 제공하지만 색수차가 있고, 거울을 이용하는 반사망원경은 집광력이 뛰어나고 색수차가 없지만 상이 불안정하다. 반사굴절망원경은 반사망원경에서 나타나는 수차들을 보정하기 위하여 반사망원경의 경통 앞에 적당한 보정렌즈를 설치한 망원경을 말한다. 

망원경은 상(像)이 매우 안정되어 있어 깨끗하고, 사용이 간편하지만 값이 비싸고 가 있다. 이에 비해 망원경은 색수차가 거의 없고 집광력이 뛰어나지만 보관과 사용이 불편하고, 상이 불안정하다.

반사굴절망원경은 반사망원경에서 나타나는 수차들을 보정하기 위하여 반사망원경의 경통 앞에 적당한 보정렌즈를 설치한 망원경을 말한다.

주거울은 반사망원경의 오목경과는 달리 오목경을 사용하므로 이 점에서는 제작상 수월한 점이 있으나, 슈미트 방식 등에서 사용되는 보정렌즈의 연마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또 반사망원경이나 굴절망원경보다 빛이 통과하거나 반사하는 경로가 많아지기 때문에 렌즈나 거울을 정밀히 연마하지 않으면 상이 나쁘고 어두워지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반사굴절망원경에는 막스토프(Maksutov)식과 슈미트-카세그레인(Schmidt-Cassegrain)식이 있다. 이 가운데 막스토프식은 주거울은 구면경이고, 보정렌즈로서 메니스커스렌즈를 사용하며, 렌즈의 가운데를 하여 2차경 역할을 한 방식이다. 모양은 카세그레인식과 유사하나 카세그레인식보다 비를 더 짧다.

슈미트-카세그레인식은 슈미트 방식과 카세그레인 방식을 혼합한 방식으로 경통(鏡筒) 길이가 짧아서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전면의 보정렌즈를 사용하여 각종의 수차를 줄였다. 경통의 앞끝이 막혀 있어 상이 안정되어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 팔로마산의 구경 5m인 헤일(Hale)망원경과 러시아 카우카수스(Caucasus)의 구경 6m 망원경 그리고 단일 은 아니지만 크기 1.8m인 육각형 거울 36개가 조합된 하와이 마우나키산의 구경 10m인 케크(Keck)망원경 등 대형 망원경의 종류는 모두 반사굴절망원경이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