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황씨

장수황씨

[ 長水黃氏 ]

요약 전라북도 장수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시조는 황경(黃瓊)이다.

1723년(조선 경종 3)에 편찬된 《장수황씨세보(長水黃氏世譜)》에 따르면, 시조는 신라 경순왕의 부마(駙馬)이며 시중(侍中) 벼슬을 지낸 경(瓊)이다. 경은 한국 황씨의 도시조(都始祖)로 알려진 락(洛)의 둘째 아들인 을고(乙古)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지만, 오늘날 장수황씨 문중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경 이후의 세계(世系)가 한동안 실전되어 공유(公有)의 손자 석부(石富)를 1세조로 한다. 조선시대의 4대 명상(名相)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희(喜)는 석부의 증손자이다. 그는 24년간 정승을 지냈으며 그중 18년간 영의정을 지내면서 농사의 개량과 예법의 개정, 서얼의 천역(賤役) 면제 등 치적(治績)을 쌓았다.

희의 아들 가운데 치신(致身)은 중추부판사 등을 역임하고 우의정에 올랐고, 수신(守身)은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9세손 열(悅)의 아들인 정욱(廷彧)은 이조판서·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광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시와 서예에도 뛰어났다. 17세손 기(璣)의 아들 경원(景源)은 대제학을 비롯하여 이조·예조·공조 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밖에 문장과 서예가 뛰어났던 맹헌(孟獻)·여헌(汝獻)·효헌(孝獻) 3형제가 유명하고, 선조 때 일본에 다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내침(來侵)을 예고한 윤길(允吉), 숙종 때의 학자로 의학뿐 아니라 지리에 정통하여 《여지도(輿地圖)》를 만들고 《지도연의(地圖衍義)》를 저술한 엽(曄), 순조 때의 명신 승원(昇源), 한말의 우국지사로 《매천야록(梅泉野錄)》을 지은 현(玹) 등을 배출하였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