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의 예보

조석의 예보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조석은 만조와 간조가 24시간마다 2회씩 일어나는 반일주조(半日週潮)와, 만조와 간조가 1회씩 일어나는 일주조(日週潮)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조석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요소에는 과 의 위치, 의 , 해안선의 모양 및 등이 있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은 변하지 않는 것과 규칙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에는 위도 및 해안선 등이 있고, 후자에는 달과 태양의 위치 및 지구의 자전 등이 있다. 그러므로 해양과학자들은 조석을 예보할 수 있다. 여러 지역에서의 조석관측 결과와 자료에 기초하여 약 1개월 이내의 변화, 즉 단주기 변화와 1년주기 변화, 즉 장주기의 변화를 알고 예보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조석을 예보하거나 과거의 조석상황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석예보에서 기압 또는 바람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면 대단히 정확한 값(±2cm 이내의 오차)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조후예보기(潮候豫報機)라고 하는 계산기를 사용하여 조석을 예보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계산기에는 정확한 자료가 필요하다. 정확한 자료란 10개의 분조(分潮)로 구성된 것인데 이 수치들은 모두 천문학적 관계에 의한 것이다. 최초의 조후예보기, 즉 제일 첫번째 조후예보기는 1872년경 켈빈에 의하여 만들어졌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후예보기도 켈빈이 만든 것과 비슷하지만 아주 빨리 계산할 수 있다. 즉, 어떤 지역의 1년 이상의 조석을 예보하는 데는 하루도 채 걸리지 않는다. 해마다 세계 각 지역의 조석예보표가 발행되고 있다. 조석의 예보를 할 수 있기 전에 조석에 의한 해수면의 변화를 관측·기록해야 한다. 즉, 해안에 검조소(檢潮所)가 여러 군데 설치되어야 한다. 한국의 서해·남해·동해안에도 여러 검조소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