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화방지협약

사막화방지협약

[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 砂漠化防止協約 ]

요약 무리한 개발과 오남용으로 인한 사막화 방지를 위해 체결된 협약으로, 국제적 노력을 통한 사막화 방지와 심각한 한발 및 사막화·토지 황폐화 현상을 겪고 있는 개발도상국을 재정적·기술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막화방지협약의 공식 명칭은 '심각한 한발 또는 사막화를 겪고 있는 아프리카지역 국가 등 일부 국가들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연합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in Those Countries Experiencing Serious Drought and/or Desertification, Particularly in Africa)'이다.

1977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유엔 사막화대책협의회(UNCOD)는 사막화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사막화퇴치행동계획(PACD)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는 국제사회의 무관심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1992년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발제에 따라 국제공동체적 차원에서 사막화를 퇴치할 통합적인 접근방법의 필요성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

이후 수차례 협상을 거쳐 1994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막화방지협약(UNCCD)이 채택됐다. 사막화방지협약은 가입국들에게 일관성 있는 사막화 방지 전략을 세울 것을 촉구하고, 이를 빈곤 퇴치 전략과 통합시킬 것을 주문하고 있다. 특히 비정부기구와 여성 및 청소년의 경각심을 일깨워 이들의 참여를 촉진할 것을 강조한다. 한국은 1999년 8월 17일 156번째로 가입했다.

사막화는 건조 지역과 반-건조 지역 그리고 건조한 반-습지 지역에서 일어나는 토양의 침식 과정으로, 주로 인간 활동과 풍토의 변화에 의해 일어난다. 사막화는 기존에 존재하던 사막들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지구 토양 면적의 3번째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조 토양 생태계가 무리한 개발과 오남용으로 인해 극도로 약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기후변화, 산림 벌채, 과도한 방목, 나쁜 관개 상태가 토양의 비옥도를 완전히 떨어뜨릴 수 있다.

역참조항목

사헬 지대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사막화 기존에 사막이 아니던 곳이 점차 토지가 황폐해지면서 사막으로 변해가는 현상을 사막화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자연적인 요인과 인위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가축을 기르게 되면서 초지의 풀을 먹이로 하는 방목이 급격히 늘어났고, 더 많은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해 나무를 베어내면서, 비가 와도 스며들지 못하는 척박한 땅이 되었습니다. 또한 작물을 생산할 목적으로 관개시설을 무리하게 확장하여 물을 끌어옴에 따라 염류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고, 염류화된 토지가 불모지로 방치되면서 사막화가 더욱 촉진되었습니다. 여기에 기후 변화에 따른 오랜 가뭄과 건조화 현상이 장기화됨에 따라, 사막화 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에 황사 현상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를 야기합니다. 사막화로 인한 피해가 점차 확대되자 6월 17일을 ‘사막화 방지의 날’로 지정하고, 전 세계적으로 사막화 방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유엔은 사막화 방지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사막화가 진행 중인 지역의 주민을 구호하는 활동과 더불어 사막화 지역에 나무를 심는 등 사막화 방지를 위해 세계 각국에서 애쓰고 있습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