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기

김영기

[ 金永基 ]

요약 현대 한국화가로 '동양화' 대신 '한국화'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문인화적 필치와 현대적인 표현을 추구했고 대륙 풍의 화조화를 즐겨 그렸다. 만년에는 청록조의 산수화를 그렸다.
출생-사망 1911.11.30 ~ 2003.5.1
본관 남평(南平)
청강(晴江)
국적 한국
활동분야 미술(한국화)
출생지 서울
주요수상 자랑스런 서울시민상(1994), 은관문화훈장(1997)
주요저서 《조선미술사》(1948), 《동양미술사》(1970), 《동양미술론》(1980)
주요작품 〈월하의 행진〉〈계림의 가을〉〈백두산 천지〉〈장백산 폭포〉

은 남평(南平), 호는 청강(晴江)이다. 1911년 11월 30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한국의 근대 서화가인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이다. 1932년 경기를 거쳐, 1936년 [北京] 보인대학교(輔仁大學校)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에서 거듭 입선한 뒤, 1945년 교수를 거쳐 이듬해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창립된 단구미술원(檀丘美術院) 동인으로 참여하였다. 그 뒤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백양회(白陽會) 회장(1960), 전각협회 회장(1974), 대한미술원 창립 초대회장(1977), 운영위원장(1994)·고문(1995) 등을 지냈다.

1968년 동양미술연구소를 열고, 1970년대 '동양화'라는 용어가 적당하지 않음을 지적하고 처음으로 '한국화'로 바꾸어 쓰자고 주장하였다. 미국 월드하우스갤러리 현대한국회화전(1957), 동서미술전(1958), 한국미술협회 순회전(1961)을 비롯해 20여 회에 걸쳐 국내외 초대전에 출품하였고, 여행기념작품전(1991), 작품전(1994), 개인전(2000) 등 다수의 작품전과 개인전을 열었다.

적인 필치와 현대적 표현을 추구하는 한편, 대륙 풍의 를 즐겨 그렸고, 나이가 들어서는 남해 의 풍광을 소재로한 청록조의 를 주로 그렸다. 현대 한국화의 거목으로, 저서에는 《조선미술사》(1948), 《신라문화와 경주고적》(1953), 《동양미술사》(1970), 《동양미술론》(1980), 《중국대륙 예술기행》 등이 있고, 《마르코 폴로 대(大)여행기》를 번역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월하의 행진〉〈계림의 가을〉〈백두산 천지〉〈장백산 폭포〉등이 있고, 자랑스런 서울시민상(1994), 은관(1997)을 받았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