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 敎育行政情報─ ]

요약 교육행정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직원의 업무환경 개선을 위해 교육부가 구축한 전국 단위의 교육행정 정보체계.

'NEIS'로 약칭되며, 2003년 4월 11일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교육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국 1만여 개의 초·중등학교, 16개 시·도 및 산하기관, 교육부를 으로 연결하는 전국 단위의 교육행정 정보시스템을 말한다.즉, 27개 분야의 교육행정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① 학부모는 직접 학교를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졸업증명서·성적증명서, 현황, 학생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② 학교 등 학생 지도에 필요한 자료가 부터 까지 누적 관리되기 때문에 교사들이 좀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학생을 지도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할 수 있다. ③ 수작업이나 자료 취합 등에 따르는 시간과 업무량이 많이 줄어들고, 기초 자료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의사 결정은 물론 신뢰성 있는 을 추진할 수 있다.

이를 이용 대상별로 세분해 살펴보면, 먼저 학부모·민원인은 각종 민원신청, 교육통계 현황, 교육정책, 학생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둘째로 교육부는 인터넷을 이용해 교육정책을 수립·시달하고, 교육정책 시행 결과 및 교육통계를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시·도 및 지역 교육청은 인터넷으로 교육정책을 시행·관리·분석하고, 예산··인사 및 물품, 기타 행정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넷째 각급 학교는 인터넷을 통해 교무·학사, 학교 회계 및 물품, 보건과 급식 업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가 개인의 신상정보를 합법적으로 수집·관리하는 것은 명백한 인권침해이며, 기록된 정보가 유출될 경우 상업적으로 이용될 우려가 있고, 또 이 시스템이 교사를 통제 또는 압박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