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천

수원천

[ 水原川 ]

요약 경기도 수원시 광교산에서 시작되어 수원시의 남쪽을 가로질러 황구지천으로 흘러드는 지방2급의 하천이다. 길이는 2.72km, 유역면적은 25.80km²이다. 1996년부터 하천 생태계 복원사업을 전개하여 자연형 하천으로 많이 탈바꿈하였다.
수원천

수원천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기 수원시
유역면적 25.80㎢
길이 2.72㎞

길이 2.72km, 유역면적 25.80㎢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을 끼고 있는 지방 2급 하천으로, 수원시 광교산(光橋山:582m)에서 발원해 광교 를 거쳐 수원시의 남쪽 을 가로질러 황구지천(黃口池川)으로 흘러든다.

그러나 1991년부터 난을 해소하고 주변의 을 살린다는 목적으로 하천의 일부 구간을 로 덮어 복개하면서 이 급속도로 악화되기 시작하였다. 1994년 화성 성곽 밖의 지동교에서 남쪽으로 매교 780m 구간이 시민들의 94% 찬성으로 복개되고, 1995년 3월부터 다시 상류 구간의 2단계 복개 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15개 시민단체들이 '수원천되살리기시민운동본부'를 결성하고 '수원천 복개 반대 및 남수문 복원 촉구' 운동을 전개해 결국 복개 공사는 철회되고, 30%나 진척된 복개 공사도 중단되었다.

1996년부터는 직선화되고 오염된 수원천의 를 걷어낸 뒤, 수초가 자라고 물이 굽이굽이 흐르는 자연형 하천으로 변화시키는 한편, 공간의 조성과 나무 심기를 통해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조성하는 등 하천 복원사업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복원작업이 완료된 구간은 개꽃아재비··개쇠스랑개비·, ···, 논우렁·, 등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하는 자연형 하천으로 탈바꿈하였다. 2003년 1월 현재 이미 복개된 780m 구간에 대한 복원 계획도 추진하고 있으나, 천문학적인 등으로 인해 그 성사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