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관

한국현대문학관

[ Museu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韓國現代文學館 ]

요약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에 있는 문학 전문박물관.
설립일 1997년
소재지 서울 중구 장충동
규모 300여 ㎡
관람시간 오전 10시∼오후 5시
주요소장품 유명 작품의 초판본, 육필원고 등

현대의 를 살펴볼 수 있는 문학관이다. 1997년 11월 의왕 에 소재하는 계원조형예술대학 내에 동서문학관이라는 명칭으로 개관하였다. 2000년 7월 1일 파라다이스빌딩 별관으로 이전하며 현재의 명칭으로 바꾸었다. 시집과 작품집 1,000여 점, 문인들의 육필원고 300여 점, 1,000여 점, 주요 문예지 100여 점 등을 전시하며, 문학전시회와 문학를 개최한다. 또 계간지 〈동서문학〉과 문학관 소식지인 〈한국관소식〉을 발간한다. 주요시설로는 종합전시관과 중앙전시관·주요시인전시관·영상실 등이 있으며, 휴게소로 제비가 있다.

종합전시관은 의 번역시집 《》(1921년), 의 《타락자》(1922년), 의 《》(1926년), 의 《》(1935년) 등 문인들의 초판본 작품집이 전시되어 있다. 시집 초판본은 523권, 소설 초판본은 484권이다. 또한 각종 의 창간호, 때 발행된 시집과 소설, 분단문학과 북한문학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중앙전시관에는 의 〈설산과 나〉, 의 시 〈기분 전환〉, 의 시 〈돌아와 보는 밤〉 등 작가들의 육필원고와 글 300여 점이 진열되어 있다. 이 외에도 한국을 빛낸 작가 20인의 사진과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주요시인전시관에는 한국 현대시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최남선과 ·김소월·김영랑····윤동주 등 8인의 시집과 저서, 사진자료를 전시한다. 전시관 중앙에는 관람객이 직접 문학작품의 발생지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한국문학지도를 설치해 두고 있다. 영상실에서는 400여 점의 영상자료를 통하여 한국 현대문학의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다. 이상이 운영하던 이름을 본따 만든 카페 제비에는 와 ·김채원·김우종·마광수 등 문학인들의 그림이 걸려 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토요일은 낮 12시)까지 개관하며 일요일은 휴관한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