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재벌

한국의 재벌

재벌형태의 기업독점경영은 자본과 생산의 구성요소가 그만큼 조직적이며 근대화된 과정에서 생성된다. 그러나 한국의 산업경제의 발달추세나 규모는 1950년대 후반까지도 미미하였다. 근세 이후 ∼8·15광복∼까지는 재벌이 형성될 만한 경제적 여건이나 풍토가 갖추어지지 못하였다.

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민영휘(閔泳徽)·김성수(金性洙) 등의 토지자본이 1920년대 초반부터 축적자본의 일부를 금융·방적·제사· 등에 투자하였다. 박흥식(朴興植)·최창학(崔昌學) 등이 상업·광업 등에 진출하였으나, 이들의 자본계열은 광복과 함께 시행된 으로 토지자본이 몰락하였고, 과 6·25전쟁 등의 심한 사회동요로 재벌 형성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였다. 그러나 광복 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 일제가 남기고 간 귀속재산불하(歸屬財産拂下), (貿易), 원조불(援助弗), 낙하산식 융자에 의한 금융특례, 차관도입(借款導入) 등으로 일부 기업군(企業群)들이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또 새로운 경제동태에 뛰어들어 자수성가(自手成家)하는 기업군도 있었다.

정권∼정권∼∼공화당정권을 거치는 동안 부정축재(不正蓄財)를 환수하는 등의 진통을 겪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경제규모가 확장되고, 또 일부 건설업체가 해외에 진출하였다. 그러면서 조선(造船)·자동차·전자·철강·항공·운수·식품업체들이 성장하여 삼성(三星)·현대(現代)·엘지·한진(韓進)·효성(曉星)·SK·신동아(新東亞)·두산(斗山) 같은 재벌들이 자리를 굳혔다.

참조항목

, , , ,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