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화

김재화

[ 金在華 ]

요약 일제시대 경상북도에서 활약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18일 청도군 운문면의 3·1운동을 주도했다. 면서기와 면장으로 하여금 만세운동에 참여할 것을 강요하며, 300여 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쳤다.
출생-사망 1892.7.7 ~ 1920.4.15
국적 한국
활동분야 독립운동(3·1운동)
출생지 경남 진주
주요수상 대통령 표창(1977), 건국훈장 애국장(1991)

1892년( 29) 7월 7일 진주(晉州)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8일 진주 장날의 3·1운동을 주도한 인물로, 강달영(姜達永)·강상호(姜相鎬)· 권채근(權采根)·박진환(朴進煥)·이강우(李康雨)·박용근(朴龍根) 등과 만세운동을 계획 추진하였다.

이들은 먼저 비밀리에 독립선언서와 을 제작 배포하였는데, 군경이 이 사실을 눈치채고 각 에 휴교령을 내리는 한편, 일본인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들을 정탐하도록 지시하는 등 삼엄한 경계망을 펼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김재화는 동지들과 함께 계속 조직을 확대하면서 악대원 출신인 이영규(李永圭)·천명옥(千命玉) 등에게 시위 당일 주악(奏樂)을 부탁하는 등 계획대로 밀고 나갔다.

거사 당일인 3월 18일 오후 1시 무렵, 이영규가 (飛鳳山)에 올라가 을 불자 이를 신호로 3개 지역에 흩어져 있던 시위대들이 일제히 독립만세를 외치며 진주 장터로 몰려들었다. 사태를 절감한 일본 과 이 소방대까지 동원해 물감과 오물을 뿌리며 으로 을 난타하였으나, 시위군중은 더욱 늘어나 오후 4시 무렵 도청 앞에 모여든 군중은 3만여 명이나 되었다.

그러나 저녁이 되면서 일제의 대대적인 가 시작되어 300여 명이 되었는데, 김재화 역시 이때 체포되었다. 같은 해 6월 대구복심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혐의로 3년의 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병으로 형 집행이 정지되어 출감하였으나, 후유증을 이기지 못하고 이듬해 4월 15일 하였다. 1977년 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