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나비

요약 일제강점기의 암담한 민족현실을 노래한 윤곤강(尹崑崗)의 시.
저자 윤곤강
장르
발표년도 1930년 《시문학》(제3호)

1930년 《시문학》(제3호)에 발표되었다. 늙고 병든 나비의 형상을 통해 삶의 애상감과 일제 치하에 놓인 당시의 참담한 민족적 현실을 상징적 수법으로 노래한 작품이다.

전3연 9행으로 이루어진 로 을 지니고 있다. 시의 제재는 나비이고, 는 생의 애상과 참담한 민족현실에 대한 라고 할 수 있다. 제재인 나비에 시적 화자의 감정을 이입시켜 라는 암담한 현실상황을 회화적 이미지로 간결하게 그려낸 상징적·우의적·풍자적 성격의 이다. 나비를 통한 법과 형식과 유사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점을 표현상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나비를 당시 우리 민족의 참담한 현실에 비유해 성공적으로 상징화한 이 시는 시각적 이미지가 돋보인다. 제1연에서는 나비의 비참한 상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제2연에서는 현실에 지친 나비의 절망적 심정이 심화되어 표현되고 있다. 제3연에서는 지난날의 화려했던 나비의 추억과 비참한 현실이 대비되어, 나비의 참담한 현실을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즉, 나비의 회한을 통해 황혼기에 접어든 인생의 허무와 현실에 대한 절망감을 담담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 이 시가 씌어진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보면, 날개 찢어진 늙은 나비는 일제의 억압으로 만신창이가 되어버린 우리 민족의 모습으로 해석된다.

이 시는 윤곤강의 초기 대표작의 하나로, 어둡고 절망적인 어조로 늙은 나비의 심상을 통해 우리 민족의 비극적 현실을 암시적으로 풍자한 작품이다. 특히 20세 전후의 젊은 나이에서 비롯된 적 발상과 프랑스의 시인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의 영향을 받아 적인 분위기를 짙게 풍기는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