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병

박도병

[ 朴道秉 ]

요약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농학자. 수원고등농림학교 재학 중 학생 비밀결사인 한글연구회를 결성하고 농민 계몽에 힘썼다. 광복 후,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등을 지냈다.
출생-사망 1917.11.16 ~ 2002.2.9
별칭 호 경암(耕岩)
국적 한국
활동분야 독립운동·농학
출생지 함남 원산시
주요수상 대통령 표창(1982), 건국훈장 애족장(1991)

1917년 11월 16일 함경남도 원산시에서 태어났다. 1937년 3월에 오산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4월에 수원고등농림학교 농학과에 입학하였다. 재학중이던 1939년 4월 임봉호(林鳳鎬)·정주영(鄭周泳) 등과 항일 학생 한글연구회를 조직하면서 항일 운동에 뛰어들었다.

창립 당시 한글연구회는 20여 명의 학생을 회원으로 모으고 한글을 연구하면서 민족 독립을 위한 방안으로 을 설립해 농민 계몽에 힘쓰는 등 수원고등농림학교의 한인기숙사를 중심으로 항일의식을 북돋우는 데 주력하였다.

그러던 중 같은 회원이었던 김중면(金重冕)이 함경북도 갑산농업학교 교사로 있으면서 학생들에게 민족 의식을 불어넣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 일로 인해 한글연구회의 조직이 드러나 1941년 9월까지 대부분의 회원들이 검거되었는데, 이 사건을 가리켜 '수원고농 한글연구회사건' 또는 '제3차 고농사건'이라 부른다.

이 때 다른 회원들과 함께 체포되어 18개월 간 을 당한 끝에 1943년 3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1년 6월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광복 후에는 농학자로서 진주농과대학 교수,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교수, 원로과학기술자문단 농수산부 원예분과 단원을 지냈다. 1982년 대통령 표창, 1991년 애족장을 받았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