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닥불

모닥불

요약 일제강점기의 고향에 대한 상실감을 향토성 짙은 토속어로 노래한 백석(白石)의 시.

1936년에 발행된 백석의 첫시집 《사슴》에 수록되어 있다.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닥불을 소재로 해 공동체적 삶에 대한 믿음과 아름다움을 노래한 작품이다. 토속적이며 서사적인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이 시는 를 살아가는 민중들에게 사라져가는 우리 것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화합을 이루어 암담한 현실을 극복해나갈 것을 겨레의 에 호소하고 있다.

전3연으로 이루어진 로 을 지니고 있다. 모든 시행이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체의 로서, 평안도 농촌의 정서를 실감나게 그려내었다. 시의 제재는 모닥불이며, 는 민족의 훈훈한 인정과 화합이라고 할 수 있다. 표현상의 특징으로 열거법과 토속어의 사용을 들 수 있는데, 제1,2연의 낱말 끝에 열거격 특수조사 '~도'를 사용함으로써, 모닥불이라는 공간이 소외된 존재들이 평등하게 만나는 장소임을 부각시키는 표현효과를 얻고 있다.

제1연 "새끼 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랑잎도 머리카락도 헝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왓장도 닭의 깃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에서 시인은 비참한 민족의 삶을 이야기한다. 보조사 '~도'는 점점 커가는 모닥불의 이미지를 환기시켜 준다. 제2연 "재당도 초시도 문장(門長) 늙은이도 더부살이하는 아이도 새사위도 갓사둔도 나그네도 주인도 할아버지도 손자도 붓장사도 땜쟁이도 큰 개도 강아지도 모두 모닥불을 쪼인다."에서는 모든 것을 넉넉하게 포용하고 하나로 일체화시키는 모닥불을 구심점으로 따뜻한 인정을 나눔으로써 어려운 현실을 극복해나가는 농촌공동체의 이상적인 풍경을 노래한다. 제3연 "모닥불은 어려서 우리 할아버지가 어미 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로 불쌍하니도 몽둥발이가 된 슬픈 역사가 있다."에서 시인은 모닥불을 통해 할아버지의 슬픈 과거를 떠올린다. 고아의 몸으로 모닥불에 발을 태워 '몽둥발이'가 된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을 빼앗긴 우리민족의 슬픈 역사로 치환될 수 있다. 그러나 시인은 모닥불이 하는 화해로운 공동체적 의식으로 슬픈 과거까지도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강한 믿음과 희망을 노래한다.

이 시는 에서의 민족의 주체적 를 농촌공동체의 생활과 정서에서 찾고자 한 백석의 초기작품으로, 시대 우리 민족의 비극적인 삶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다. 작품 전편에 작가의 가족적인 유대나 유년기의 체험이 과다하게 노출되고 있다는 비판이 따르기도 하지만, 1930년대의 민중들의 생활을 예리하게 포착해냈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민중의 삶을 위협하는 현실적 모순을 헤쳐나갈 정신적 버팀목 역할을 해낸 점이 높이 평가된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