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민족통일대축전

8·15민족통일대축전

[ 八一五民族統一大祝典 ]

요약 2001년 8월 15일부터 21일까지 남한·북한·해외동포 대표가 참가한 가운데 평양에서 개최된 범민족 행사.

남한··해외동포 3자연대 조직인 조국통일범연합(범민련)이 1990년 1차 범민족대회를 시작으로 이후 해마다 개최해 1999년까지 10차대회를 개최하였고, 2000년에는 북한이 '2000통일대축전'과 '제11차 범민족대회'를 열지 않겠다고 함에 따라 개최되지 않았다.

그러다 2001년 6월 15일, 남북민족통일대토론회에서 북측이 8·15 남북 공동행사를 평양에서 개최하자고 제의함에 따라 7월 18~19일 1차 실무접촉을 가진 뒤, 7월 31부터 8월 4일까지 2차 실무접촉을 가졌다. 이 접촉에서 북측은 행사장소를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으로 고수하였고, 8월 6일 한국 정부는 민간단체의 참석을 불허한다는 방침을 제시하였다.

8월 10일 북측이 행사 장소 변경 불가 방침을 통보하였고, 8월 13일 남측 추진본부가 평양에 남측 대표단 파견을 결정하였으나, 정부는 현실적 여건을 들어 추진본부의 방북 승인 신청을 불허하였다가, 8월 14일 3대헌장기념탑 행사에 불참한다는 조건으로 방북을 허용하였다.

8월 15일, 남측 대표단 337명이 로 방북, 같은 날 남측 참가자 100여 명이 3대헌장기념탑 개막식 행사에 참석한 뒤 이튿날에는 80여 명이 3대헌장기념탑 폐막식 야회에 참석하였다. 8월 17일 남측 추진본부는 개·폐막식 참석 관련 대국민 사과을 발표하였으나, 일부 인사들이 다시 방명록의 '만경대 정신' 등에 서명하였고, 8월 18~19일에는 남측 대표단이 ·을 등정하였다.

8월 21일 남북 대표단은 2002년 8·15 민족통일대축전을 서울·평양에서 동시에 개최하고, 북측 대표단의 서울 방문 등 5개항의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 보도문을 채택하였다. 이 보도문에서 남북 양측은 6·15 남북 공동선언의 적극 실천, 조국의 자주적 통일 실현을 위한 외세 간섭과 근원의 제거, 민족의 안전·평화 보장을 위한 민간단체의 적극 연대 등에 합의하고, 민간 차원의 다양한 교류협력 및 필요한 교류사업을 적극 활성화하자는 데 뜻을 같이하였다.

그러나 2001년 때 생사가 확인된 남북 간 선물교환과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을 위한 노력 등을 공동 보도문에 포함시키는 문제를 둘러싸고 난항을 거듭하다 끝내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폐막되었다.

한편 2001년 8·15민족대축전은 국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8월 20일, (NSC) 상임위원회는 이 행사 파문 관련자에 대한 사법처리방침을 확정하고, 방북대표단 귀국 직후인 8월 24일 '만경대 정신' 파문을 일으킨 강정구(姜禎求) 를 비롯해 7명을 위반 혐의로 수감하였다.

또 국민의 정부가 추진한 의 설계자이자 전도사로 불리는 임동원(林東源) 장관이 남측대표단의 방북 허용을 비롯해 8·15 민족통일대축전 행사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에서 해임안이 됨으로써 9월 4일 사표를 제출하는 등 · 문제로까지 불거졌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