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본기의 분포

데본기의 분포

유럽의 데본계는 여러 (碎屑岩)이나 등을 주체로 하는 (海成層)과, 적색 사암을 주체로 하는 육성층(陸成層)이 있는데, 이를 구적사암(舊赤砂岩)이라고 한다.

해성층은 모식지로부터 브르타뉴 반도, 프랑스 중앙산지, 벨기에를 지나서 라인산지에 흔히 노출된다. 또 로부터 우랄산맥에 걸쳐서 분포한다. 해성 데본계의 표준구분은 라인협곡으로부터 벨기에에 걸쳐서 실시되어, 하위로부터 제딘뉴통(統) ·코블렌츠통 ·아이펠통 ·지베통 ·프라스뉴통 ·패멘뉴통으로 세분된다. 이들 지층에서는 완족류 · · · 등의 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구적사암은 유럽 북부로부터 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도 각지에 데본계가 분포하는데 미국 북동부로부터 뉴욕주(州)에 걸쳐서 흔히 노출되며, 오래 전부터 상세하게 연구되었다. 또 오대호(五大湖) 주변 지방에도 석회암을 주체로 하는 데본계가 널리 분포한다. 서부에서는 로키산맥 지방에 흩어져 있다. 캐나다 북부의 이나 알래스카에도 데본계가 잘 발달되어 있다. 북아메리카 대륙에도 구적사암 상당층이 분포하며, 유럽과 마찬가지로 어류나 식물화석 등이 산출된다.

아시아 대륙에서는 우랄산맥으로부터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를 지나서 중국 남부에 해성 데본계가 널리 분포하며, 북동부에도 널리 분포한다. 에서는 남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등에 분포하며, (氷堆石)을 포함하는 지층이 각지에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대륙 동쪽에 분포하며, 산호 등을 포함하는 해성층이 잘 발달되어 있다. 데본계는 세계 각지에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중부 데본계의 분포가 넓다.

한국의 고생계는 초기 고생대의 퇴적인 조선계(朝鮮系)와 후기 고생대에 형성된 평안계층(平安系層)으로 나누고, 중부 고생대 지층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계와 평안계 사이는 지질시대로 보아 말엽부터 및 데본기를 거쳐 초에 이르는 오랜 기간이다. 하지만 이 기간에 퇴적된 지층이 몇 지역에서 국부적으로 보고되었을 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참조항목

, , , , , , , ,

카테고리

  • > > >